第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 법은 가히 얻을 것이 없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은 바 없음(無所得)이 됩니다”

-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여,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내지 작은 법이라도 가히 얻음이 있지않으므로(無有少法可得), 이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느니라.”

함허

보리(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는 중생과 부처가 평등하게 본래 가지고 있는 것임 - 그 가운데는 응당 범부와 성인 有得과 無得을 분별하지 않음

규봉

法이 없음(無法)으로써 정각(正覺)을 삼는다는 것은, 揭에 이르되 “작은 법(少法)도 없음이 보리의 無上을 앎”. 論에 이르되 “보리에는 가히 한 가지 法도 증득함이 없으므로 ‘아뇩보리’라고 이름함”

육조

수보리가 말하되 “소득심(所得心)이 다 없어짐을 곧 보리(卽是 보리)”라 하니, 부처님께서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여, 내가 보리에 대하여 희구심(希求心)이 없었으며, 또한 얻겠다는 마음(所得心)도 없었다. 이와같은 까닭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이름을 얻을 수 있었다.”

부대사

“…부처님은 무엇으로 인하여 얻은이 있는가. ‘얻을 바가 없음’으로 이로다.…미혹에 집착하여 깨닫지 못한 이들은 길을 잘못드는 일이 얼마나 많았던가”

야부

남에게 구하는 것은, 자기에게 구하는 것만 같지못함

“…가을 달과 봄 꽃의 무한한 뜻이여, 자고(꿩)의 울음을 한가히 듣는데 방해롭지 않도다”

함허

이미 평등하다고 한다면 어찌 멀리 성인들에게 미루어 구할 것이며, 이미 본래 지니고 있음인데, 어찌 모름지기 밖을 향해서 급하게 구할 것인가.

“…山僧이 아직 법상에 오르기도 전에, 풍경소리가 법을 이미 다 설하였느니라.”

종경

아뇩보리 - 법을 가히 얻을 것이 없음을 말함.

열반正眼 - 道를 전할 것이 아님

“본래 설함도 없고 전할 것도 없으니, 막 사유하자마자 곧 관문에 걸림이라. 語와 黙, 無와 有를 함께 다 쓸어버리고, 고요히 옛 영축산에 홀로 앉음이로다.”

함허

이 宗은 본래 나지않음이니, 마음을 내면 곧 어긋나도다.